‘해적: 바다로 간 산적’은 2014년 개봉한 한국의 여러 장르가 합쳐진 액션 어드벤처 사극 영화입니다. 조선 건국 직전, 명나라에서 조선으로 보내진 국새가 고래에게 삼켜지는 전대미문의 사건이 벌어지면서, 산적과 해적, 그리고 조정의 각 세력들이 국새를 되찾기 위해 바다에서 대격전을 벌이는 이야기를 보여줍니다.
이석훈 감독이 연출하고, 김남길(장사정), 손예진(여월), 유해진(철봉), 이경영(소마), 오달수(한 상질) 등이 출연합니다. 역사와 소설적 요소가 적절하게 섞인 팩션 사극으로, 유쾌한 유머와 스펙터클한 액션, 개성 넘치는 캐릭터들이 어우러진 작품입니다.
1. 줄거리
영화는 고려 말, 조선 건국을 앞둔 시기에서 시작합니다. 명나라에서 조선으로 국새를 보내는 도중, 국새를 실은 배가 고래의 습격을 받아 국새가 고래 뱃속으로 사라지는 사상 처음인 사건이 벌어집니다. 사절단 대표 한 상질은 이 일을 왕에게 사실대로 알릴 수 없어, 해적이 국새를 빼앗아갔다고 거짓 보고를 하게 됩니다.
한편, 고려 장군이었던 장사정은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반기를 들고 탈영, 산적이 되어 부하들과 산에서 산적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산적질에 서툴러 늘 소득 없는 일만 생기던 중, 국새를 찾으면 큰 포상을 받을 수 있다는 소문을 듣고 바다로 나가 국새를 찾기로 결심합니다.
해적단에서는 두목 소마가 부하들을 팔아넘기는 등 악행을 일삼자, 이인자 여월이 반란을 일으켜 소마를 몰아내고 새로운 두목이 됩니다. 그러나 여월은 한 상질에게 협박을 받게 되어 고래를 찾아 나서게 됩니다.
산적단은 바다에 대한 지식이 전무해 해적 출신 철봉의 설명을 들으며 우왕좌왕하고, 해적단은 고래를 잡기 위해 화포를 준비합니다 산적과 해적, 그리고 조정의 모흥갑과 소마가 각자의 목적을 갖고 국새를 찾기 위해 고래를 쫓으며 바다에서 맞붙게 됩니다.
결국, 산적과 해적은 소마와 모흥갑의 연합군에 맞서 힘을 합치게 되고, 바다 위에서 치열한 대결이 펼쳐집니다. 여월과 장사정은 위기에 처하지만, 어렸을 때 만난 고래의 도움으로 목숨을 구합니다. 그러나 소마는 고래를 죽이고, 마지막 대결에서 장사정과 여월은 소마와 모흥갑을 처치합니다.
국새는 끝내 찾지 못하고, 안타깝게 어미 고래는 죽고 새끼 고래만 남습니다. 장사정은 이성계에게 남의 나라 밑에 들어가는 것을 꾸짖고, 한 상질은 하옥됩니다. 이성계는 결국 속국이 아닌 독립된 조선을 유지하게 됩니다.
2. 코믹 포인트
- 산적들의 바다 적응 시기: 바다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산적들은 해적 출신 철봉에게 바다와 고래에 대해 배우는 장면이 대표적인 웃음 포인트입니다. 철봉이 “고래는 엄~청 커요!”라며 산적들을 놀라게 하는 장면, 멀미에 시달리는 산적들의 모습 등은 관객들에게 큰 웃음을 줍니다.
- 해적과 산적의 어색한 동맹: 서로를 못마땅해하면서도 국새를 찾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손을 잡는 해적과 산적의 옥신각신 케미, 서로를 속이고 골탕 먹이려는 장면들을 재미있게 보여줍니다.
- 캐릭터들의 코믹 연기: 김남길의 능청스러운 산적 연기, 유해진의 해적 출신이지만 산적이 되려는 캐릭터, 박철민의 감초 연기 등 배우들의 코믹한 연기 변신은 영화 속에서 관객들을 미소짓게 만듭니다.
- 과장된 액션과 허당미: 산적들이 바다에서 허둥거리는 모습, 해적단의 기괴한 작전, 고래를 잡으려다 벌어지는 해프닝 등 과장된 액션과 허당미가 곳곳에 녹아 있어 관객을 웃음짓게합니다.
3. 결말
최종 결전에서 소마와 모흥갑은 손을 잡고 고래를 없애려 합니다. 여월과 장사정은 과거의 원한을 가진 두 악당을 저지하기 위해 힘을 합칩니다. 바다 위에서 벌어지는 마지막 대전에서, 소마는 고래를 죽이고 국새를 얻으려 하지만, 여월과 장사정이 힘을 합쳐 소마와 모흥갑을 처치합니다.
국새는 끝내 찾지 못하고, 어미 고래는 죽습니다. 홀로 남은 새끼 고래의 외로운 모습이 그려집니다. 장사정은 이성계에게 남의 나라 밑에 들어가는 것을 꾸짖고, 국새를 찾지 못한 한 상질은 옥에 갇히게 됩니다. 이성계는 결국 조선이 속국이 되지 않도록 11년간 독립을 유지한다는 역사적 메시지로 영화는 마무리됩니다.
결국, 해적과 산적 모두 국새를 얻지는 못했지만, 각자의 방식을 통 정의와 자유를 지키려 했던 이들의 모험과 우정, 그리고 유쾌한 웃음을 관객에게 선사합니다.